감전 및 전기화재 예방진단
감전 및 전기화재 예방진단
대부분의 감전사고와 전기화재는 잘못된 전기설비에 의하여 발생합니다.
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600여명의 감전사상자가 발생하고 있고 8,000여건의 전기화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
감전사고와 전기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내의 불안전 요소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.
  • 전기안전 프로세스 점검

    : 도면 및 이력관리, 전기설비의 점검 주기 및 항목 등의 점검을 통하여 전기설비안전관리 프로세스의 적정성 검토 및 개선방안 도출

    • ◈  도면 및 전기설비 이력관리 상태 점검
      • 도면의 비치 및 관리 (Update) 상태 점검
      • 전기설비 진단 및 정비 이력관리 점검
      • 전기설비 점검주기, 항목 및 Check Sheet의 적정성 검토
    • ◈  전기작업에 관한 안전관리 시스템 점검
      • KOSHA Guide에 의한 전기 작업자 보호장구 및 계측기 등의 보유, 관리상태 점검
      • 작업자 안전교육 계획 및 실시

  • 저압 분전반 점검

    : 저압 분전반의 재질, 구조, 차단기, 전선 등의 선정 및 설치상태와 분전반 설치환경, 분기회로의 절연저항 측정 및 열화상 점검 등을 통하여 화재 위험성 발굴 및 개선방안 도출

    • ◈  분전반 구성품의 재질, 구조, 상태 등의 점검
      • 분전반 분기회로의 절연저항, 누설전류 측정 및 누전차단기 동작시험 실시
      • 분전반 재질, 구조에 따른 화재 확산 위험성 발굴
      • 차단기 용량, 종류에 따른 불합리 사항 발굴 및 개선 방안 도출
      • 전선의 종류, 접속상태, 차단기와의 부정합 등의 이상유무 판별
      • 적외선 열화상으로 측정하여 분전반의 차단기, 접속부 등의 발열부검출
      • 물리적 간섭, 분진, 결로, 물기 등... 분전반 설치 환경 점검
      • 기타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적정성 여부 검토

  • 전기사용 설비 점검

    : 매장, 공장, 사무실, 창고, 식당, 휴게실 등에 설치된 저압 전기사용설비의 설치 환경, 설치상태 및 운영상태 등에 대한 점검을 통하여 감전 및 전기화재 위험성을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도출

    • ◈  설치장소별 화재위험 발굴
      • 설치장소별 배선 및 접속기구의 설치 및 접속 상태 점검
      • 전기기기(냉온수기, 냉장고, 배선 및 접속기구 등)의 설치 및 운영 상태 점검
      • 매장내 쇼케이스, 카운터 등의 전기장치 설치 및 운영상태 점검
      • 기타 감전 및 전기화재 위험성을 발굴하고 개선방안 도출
    • ◈  전열기기 설치 환경 및 운영상태 점검
      • 주방용 전기 조리기기의 설치 및 접속, 배선상태, 외함 접지 여부 점검
      • 직원 휴게공간 및 VIP 라운지 등의 전열기기 설치 환경 및 운영상태 점검
      • 기타 감전 및 전기화재 위험성을 발굴하고 개선방안 도출
    • ◈  기타 감전 및 전기화재 위해요인 발굴
      • 고객 동선 주변 전기장치의 설치 및 운영상태 점검
      • 리프터충전기, 전기용접기, 전동공구 등의 전기기계기구의 설치 및 운영상태 점검

  • 부하설비 안전 점검

    : 화재위험성이 높은 EPS실과 공조설비에 대한 점검과 보호장치 선정의 적합성 검토등을 통하여 감전 및 전기화재 위험성을 발굴하고 개선방안 도출

    • ◈  EPS / 공조설비
      • Cable Tray, 배관, Duct 관통부 등의 Sealing 여부 점검
      • 3상 발열설비(ex : 공조기내 동파방지 히터)의 전류불평형률 측정 및 접속불량 검출
      • 히팅케이블, 발열설비 및 보호장치의 적정성 검토
      • 공조설비의 배선, 접속방법, 보온재의 재질 등에 대한 적합성 검토
      • 제어반의 열화상 측정을 통한 발열부 검출
      • 기타 EPS/공조설비 및 제어반에서의 감전 및 전기화재 위험성을 발굴하고 개선방안 도출

  • 위험물 취급 및 보관 장소의 방폭설비 적정성 진단

    : 위험물 취급 및 보관장소의 방폭설비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검토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하여 화재 폭발 예방

    • ◈  가연성 가스, 액체 등의 취급 및 저장장소 점검
      • 위험장소 선정에 대한 적정성 검토
      • 정전기 관리 실태 점검 및 개선사항 제시
      • 보일러실, 위험물저장장소 등에 대한 관리 및 운영상태 점검
    • ◈  방폭설비 설치 및 유지관리 상태 점검
      • 방폭설비의 선정에 대한 적정성 검토
      • 방폭설비 설치 및 유지관리 상태 점검 및 개선방안 제시

  • 열원에 의한 화재 예방 진단

    : 생산설비, 건조기, 수조, 주방 및 소규모 보수공사 등에서의 열원에 의한 화재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수립하여 화재예방

    • ◈  생산설비의 열원 설치 및 유지 관리 상태 점검
      • 생산설비의 건조기, 수조 등 열원의 설치상태 및 유지관리상태 점검
      • 히터의 부하전류 측정을 통한 접촉불량, 단선 등의 결함 검출
      • 보온재의 난연성 검토
      • 배선 및 보호장치의 적정성 검토
    • ◈  주방 기기의 설치 및 유지 관리 상태 점검
      • 주방별 가스 사용실태 확인 및 취약요인 발굴
      • 화덕연결 배기후드 및 덕트 내부 유분(기름찌꺼기)상태 점검 및 화재 확산 위험 요인 검출
      • 주방 자동소화설비 설치, 관리상태 점검
    • ◈  소규모 보수공사에 대한 화재예방 점검
      • 용접, 용단 작업에 대한 안전관리 규정 준수 및 불티관리 실태 점검
      • 페인팅 작업시 배기상태 및 위험물 사용 관리상태 점검
      • 협력업체 반입 전동공구 및 배선에 대한 안전성 확인
      • 기타 작업 안전관리 운영상태 점검

  • 전기화재 안전교육

    • ◈  전기화재 안전교육
      • 전기화재 발생 메카니즘
      • 전기화재 예방 점검 기법 및 예방 대책